맨위로가기

필립 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립 홀은 영국의 수학자이다. 1904년 런던에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1951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961년 실베스터 메달, 1958년 베릭상, 1965년 드 모르간 메달을 수상했다. 1934년 소수 거듭제곱 차수 군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으며, 1956년에는 p-군 이론 및 번사이드 문제 연구에 기여했다. 1982년 케임브리지에서 사망했으며, 연구 업적은 1988년 "필립 홀의 전집"으로 출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학자 - 바스카라 2세
    바스카라 2세는 12세기 인도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로, 우자인 천문대 책임자를 역임하며 《릴라바티》, 《비자가니타》, 《싯단타 시로마니》, 《카라나 쿠투할라》 등의 저서를 남겼고, 대수학, 미적분학, 삼각법 등에서 업적을 남겨 인도 수학 발전에 기여했다.
  • 대수학자 - 에미 뇌터
    에미 뇌터는 독일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추상대수학과 이론물리학에 지대한 공헌을 했으며, 대수학의 추상적인 개념 정립과 뇌터 정리 증명, 여성에 대한 차별 극복을 통해 수학과 물리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성 수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동문 - 에릭 홉스봄
    에릭 홉스봄은 영국 출신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로,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 《극단의 시대》 등 저술을 통해 근대와 20세기를 분석했으며, 공산주의에 대한 옹호적 시각과 소련의 범죄에 대한 침묵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동문 - 앨런 튜링
    앨런 튜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니그마 암호 해독에 기여하고 컴퓨터 과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영국의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이며, 동성애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 잉글랜드의 수학자 - 앨런 튜링
    앨런 튜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니그마 암호 해독에 기여하고 컴퓨터 과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영국의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이며, 동성애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 잉글랜드의 수학자 - 로저 펜로즈
    로저 펜로즈는 수학, 물리학 분야에서 일반 상대성이론, 우주론, 양자 중력 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펜로즈 타일링을 발견했으며, 등각순환우주론을 제안하고 의식의 양자적 해석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한 학자이다.
필립 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필립 홀
출생1904년 4월 11일
출생지영국 런던
사망1982년 12월 30일
사망지영국 케임브리지
국적영국
분야수학
근무 기관케임브리지 대학교
모교케임브리지 대학교
학문 지도 교수칼 피어슨
저명한 제자개릿 버코프
앨프레드 골디
박사 과정 제자폴 콘
제임스 그린
브라이언 하틀리
베른하르트 노이만
데릭 J. S. 로빈슨
데릭 톤트
칼 W. 그루엔베르크
알려진 업적홀 결혼 정리
홀 다항식
홀 부분군
홀-리틀우드 다항식
수상시니어 베르윅 상 (1958년)
실베스터 메달 (1961년)
라모어 상 (1965년)
드 모르간 메달 (1965년)
왕립 학회 회원
로마자 표기Pillip Hol

2. 생애

필립 홀은 1904년 4월 11일 런던에서 태어나, 크라이스츠 호스피털(Christ’s Hospital영어)에서 수학 부문 톰슨 금메달을 수상하며 졸업한 뒤, 케임브리지 킹스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다.[1][2] 1982년 12월 30일 케임브리지에서 사망하였다.[1]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904년 4월 11일 런던에서 태어나, 크라이스츠 호스피털(Christ’s Hospital영어)에서 수학 부문 톰슨 금메달을 수상하며 졸업한 뒤, 케임브리지 킹스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다.[1][2]

2. 2. 학문적 업적과 수상 경력

필립 홀은 1951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61년 실베스터 메달을 수상하였다.[1] 1955년부터 1957년까지 런던 수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1958년 베릭상, 1965년 드 모르간 메달을 수상하였다.[1]

2. 3. 사망

1982년 12월 30일 케임브리지에서 사망하였다.

3. 주요 연구 및 출판물

필립 홀은 군론, 특히 유한군의 구조, p-군, 가해군 이론을 주로 연구했다. 그의 주요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다.


  • 1934년: 소수 거듭제곱 차수 군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한 논문 〈소수 거듭제곱 차수 군의 이론에 대한 기여〉[1] 발표.
  • 1956년: G. 히그먼과 함께 번사이드 문제 연구에 기여한 논문 〈p-가용 군의 p-길이와 번사이드 문제에 대한 축소 정리〉[1] 발표. 이 논문은 p-군 이론에도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 1988년: 그의 연구 업적을 집대성한 《필립 홀의 전집》[3] 출판.

3. 1. 소수 거듭제곱 차수 군의 이론

1934년 필립 홀은 〈소수 거듭제곱 차수 군의 이론에 대한 기여〉[1]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에서 홀은 소수 거듭제곱 차수 군(p-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여러 중요한 결과들을 제시하였다.

3. 2. p-가용 군의 p-길이와 번사이드 문제

필립 홀은 1956년 G. 히그먼(G. Higman)과 공동으로 〈p-가용 군의 p-길이와 번사이드 문제에 대한 축소 정리〉(On the p-length of p-soluble groups and reduction theorems for Burnside's problem)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번사이드 문제 연구에 기여했다.[1] 이 논문은 p-군 이론에도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p-length of p-soluble groups and reduction theorems for Burnside's problem영어[1]

3. 3. 필립 홀의 전집

The Collected Works of Philip Hall|필립 홀의 전집영어[3]은 1988년 클래런던 출판사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에서 옥스퍼드 과학 간행물 시리즈로 출판된 책이다. 이 책은 필립 홀의 다양한 연구 업적을 집대성한 자료이다.

참조

[1] 논문 Philip Hall. 11 April 1904–30 December 1982
[2] 서적 Group theory. Essays for Philip Hall. Academic Press
[3] 논문 Obituary: Philip Hall
[4] 전기
[5] 학계족보
[6] 저널 Philip Hall. 11 April 1904–30 December 19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